자료구조 - 큐 (Queue)
큐 (Queue) 큐는 먼저 들어 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선입선출의 자료구조이다. 큐는 입구와 출구가 모두 뚫려 있는 터널 형태로 사긱화 할 수 있다. 예시를 통해 큐 동작 구조에 대해 살펴보자. "삽입(1) - 삽입(2) - 삭제() - 삽입(3) -삭제() - 삽입(4)"를 실행하면 큐에서는 다음의 순서로 동작한다. 파이썬에서의 큐 파이썬에서 큐를 구현할 때 deque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편리하다. deque에서는 append 메서드를 통해 삽입을, popleft 메서드를 통해 삭제를 할 수 있다. deque를 사용한 코드는 아래와 같다.
파이썬
2023. 1. 5. 23:53
자료구조 - 스택(Stack)
스택 (Stack) 스택은 나중에 들어 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형식(후입선출)의 자료구조이다. Last in First Out이란 뜻으로 LIFO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. 이러한 스택은 입구와 출구가 동일한 형태로 시각화할 수 있다. 이 스택 구조를 사용하여 "삽입(1) - 삽입(2) - 삽입(3) - 삭제 - 삽입(4)" 을 실행해보자. 그럼 아래의 그림과 같은 순서로 진행이 된다. 파이썬에서의 스택 파이썬에서는 리스트 자료형를 사용하여 스택을 구현할 수 있다. 리스트의 append와 pop 매서드를 이용하여 "삽입(1) - 삽입(2) - 삽입(3) - 삭제 - 삽입(4)" 을 표현해보자.
파이썬
2023. 1. 3. 22:4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