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반응형
리스트(List)
리스트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형이다. (C나 자바의 배열과 유사함)
1. 리스트 선언하기
2가지 방법으로 리스트를 선언할 수 있다.
1) 대괄호
a = []
b = [1,2,3]
c = ['가','나','다','라']
2) list()
a=list()
이 때 a=list()는 비어있는 리스트를 만들게 되며, a=[]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.
2. 리스트 인덱싱, 슬라이싱
리스트 원소에 접근할 때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다.
파이썬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.
a = ['가','나','다','라'] 라는 리스트에서
a[0] = '가'
a[1] = '나'
a[2] = '다'
a[3] = '라'
를 의미하며 여기서 재밌는 점은 인덱스에 음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인데, -1은 마지막 인덱스를 뜻한다.
a[-1] = '라'
a[-2] = '다'
a[-3] = '나'
a[-4] = '가'
또한 리스트는 잘라서 일부만 사용할 수도 있는데, 이를 슬라이싱이라고 한다.
a = ['가','나','다','라'] 에서 a[0:3]이라고 표현을 한다면, a리스트의 0번 인덱스에서 3번 인덱스 이전까지를 뜻한다.
즉, a[1:3] == ['가','나','다'] 라고 할 수 있다.
아래를 통해 슬라이싱의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자.
3. 리스트 메서드
리스트는 다양한 메서드를 제공한다.
알아두면 편리한 메서드를 정리해보았다.
'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료구조 - 큐 (Queue) (0) | 2023.01.05 |
---|---|
자료구조 - 스택(Stack) (0) | 2023.01.03 |
파이썬 알고리즘 - 구현 (0) | 2023.01.01 |
그리디 알고리즘 (Greedy Algorithm) (0) | 2022.12.29 |
복잡도(Complexity)와 빅오 표기법(Big-O Notation) (0) | 2022.12.2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