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파이썬

파이썬 리스트(List)

loooopy 2022. 12. 27. 22:00
반응형

리스트(List)

리스트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형이다. (C나 자바의 배열과 유사함)

 

 

1. 리스트 선언하기

2가지 방법으로 리스트를 선언할 수 있다. 

 

1) 대괄호

     a = []

     b = [1,2,3]

     c = ['가','나','다','라']

 

2) list() 

     a=list()

     이 때 a=list()는 비어있는 리스트를 만들게 되며, a=[]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. 

 

 

 

2. 리스트 인덱싱, 슬라이싱

리스트 원소에 접근할 때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다.

파이썬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.

 

a = ['가','나','다','라'] 라는 리스트에서

a[0] = '가'

a[1] = '나'

a[2] = '다'

a[3] = '라'

를 의미하며 여기서 재밌는 점은 인덱스에 음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인데, -1은 마지막 인덱스를 뜻한다.

a[-1] = '라'   

a[-2] = '다'

a[-3] = '나'

a[-4] = '가'

 

또한 리스트는 잘라서 일부만 사용할 수도 있는데, 이를 슬라이싱이라고 한다.

a = ['가','나','다','라']  에서 a[0:3]이라고 표현을 한다면, a리스트의 0번 인덱스에서 3번 인덱스 이전까지를 뜻한다.

즉, a[1:3] == ['가','나','다'] 라고 할 수 있다.

아래를 통해 슬라이싱의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자.

 

 

3. 리스트 메서드

리스트는 다양한 메서드를 제공한다.

알아두면 편리한 메서드를 정리해보았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2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글 보관함